AWS

스터디 1주차

썬2 2021. 7. 21. 22:30

클라이언트: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하면 서버에 있는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게 주어진다.

Ex) 네이버 웹페이지. 네이버 화면이   있게 통신을 하는  자체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

 

AWS 스터디에서 서버(컴퓨터) 만든다.

 

서버는 개인의 컴퓨터가 될수도 있고 가상 클라우드에 올릴 수도 있다.

Ssh 통신 통해서 주은 컴퓨터에 데이터 요청하면 주은 컴퓨터에서 response return하면 주은 컴퓨터가 서버 컴퓨터가 된다.

 

인스턴스: 가상 환경(서버)

인스턴스 중지하면 일시정지라서 돈은 안나간다.

인스턴스 계속 키면 돈이 나간다.

인스턴스 종료하면 아예 삭제

 

인스턴스 유형

T2: 범용성 표현하기 위해. 범용적으로 사람들이 쉽게   있는 형태의 유형

 

EC2Image

AMI 아마존 관련해서 ec2 대한 이미지를 만들  있다.

타회사 제품 쓰기도 가능

 

Elastic Block Store

볼륨은 노트북 ssd, hdd?같은거. 볼륨을 생성해서 관리한다. 만약 ec2쓰다가 볼륨이  차면  공간에서 볼륨을 늘리거나 줄이는 진행을 한다.

스냅샷은 카피를 뜬다. (백업)

 

보안 그룹

포트 번호, ip 수정할 

 

탄력적 IP

Private public.

Public 사람들이 누구나 쉽게 들어갈  있는곳. 127.0.0.1 공용

private 사설. (맥은 네트워크 >. 102 어쩌구) 

인스턴스 중지 했다 키면 ip 바뀌어서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

 

인터넷

가상 프라이빗 클라우드

Virtual private cloud. 사용자 개인의 클라우드 서버 만든다. Ec2만들  무조건 써야 된다.

서브넷은 vpc만들때 주소를 많이 할당된다.  많은 주소 쪼갤때 사용

라우팅 테이블: 라우팅(통신할  쓰는 용어)

인터넷 게이트웨이: 인터넷 쓸수 있게 만든다. 업데이트나  클론 등해야되어서  필요하다.

 

VPC 생성

IPv4 CIDR 블록: 사설 IP를 입력해라. > ip를 어느정도까지 쓸 수 있는지 설정 가능. 10.0.0.0/24 > 총 256개의 vpc cloud를 만들수 있다. (스터디에서는 /16 subnet까지만)

참고: https://mica-pluto-49a.notion.site/subnet-f397650fb4d644f290b121466fc02267

 

서브넷 설정

private, public.

public: 공개. react같은 프론트 서버.

private: 공개X. 데이터베이스, 서버, api 게이트웨이처럼 안에서 동작하는 것들.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인터넷을 쓸수 있게 만드는 것.

 

EC2 중 보안 그룹 구성 단계

0.0.0.0/0 이거는 모든 IP 주소에서 인스턴스에 엑세스 허용.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PI Gateway와 Lambda  (0) 2021.07.30
앱 서버 연결 방법  (0) 2021.07.30
스터디 1주차_보충  (0) 2021.07.21
AWS - EC2  (0) 2021.07.20
Server  (0) 2021.07.19